본문 바로가기

각종 정보

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이용하여 검색엔진에 등록하기

반응형

제 티스토리 블로그가 구글이나 다음 검색 엔진에서는 별도로 등록을 하지 않아도 검색을 해보면 결과물이 출력되는데 네이버 검색엔진에서는 전혀 나오질 않습니다.

티스토리 블로그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도 낯선 것들이 많은 상황인지라 신경 쓰지 못하고 있다가 큰코다칠 뻔했습니다. 물론 제 코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.

일단 네이버 검색엔진 등록을 위해서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라는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셔서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. 검색이 싫으신 분들은 옆에 링크를 눌러서 이동해주세요. https://searchadvisor.naver.com/ 참~ 친절하쥬?

가입 절차는 뭐... 네이버 이메일 있으신 분들은 별 어려움 없이 가입하실 수 있으니 요정도는 다 잘하시리라 믿고 그냥 생략하겠습니다.

서치어드바이저 검색
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


아래는 로그인 후 첫 화면인데요 출생 후 검색엔진 등록을 처음 해보시는 분들은 웹마스터 가이드를 한 번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. 물론 저는 안 봤습니다. 시간이 더 소중하신 분들은 아래 빨간 원, 웹마스터 도구를 누르세요.

서치어드바이저 웹마스터 도구
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로그인 후 첫 화면

아래 사이트 관리 탭에서 사이트 등록에 본인 소유의 티스토리 URL, 즉 주소를 입력하세요. 아래 주소는 제 거니까 탐내지 마세요. 요렇게 간단히 등록만 하면 끝날 줄 아셨죠? 희망은 가까운 휴지통에. 아직 몇 가지 스텝이 더 남아 있답니다.

사이트 등록
위 입력란에 티스토리 URL을 카피 앤 페이스트 하세요. 전문용어로 복붙


바로 사이트 소유확인 절차입니다. 아래에 빨간 동그라미로 표시된 HTML 태그를 선택하신 후에 <meta name="naver... 어쩌고 저쩌고 하는 부분을 마우스 드래그를 이용하셔서 선택하신 후에 Ctl + C (카피)를 눌러주세요.

주의: 사이트 소유확인 창 닫지 마세요.

사이트 소유 확인
HTML 메타 태그를 선택해 카피. 민감한 정보는 가렸어요


자, 이제 티스토리 홈으로 가주세요. 스킨 편집 메뉴를 찾아서 클릭한 후,

스킨 편집
꾸미기 아래 스킨 편집을 누르세요. 아~~ 마우스가 꼬져서 빨간원이 잘 안그려진다


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면 HTML 편집을 누르세요.

html 편집
HTML 편집 클릭. 오른쪽을 보세요


아래 스크린샷에 보면 HTML 태그 중에 <HEAD>로 시작해서 </HEAD>로 닫힌 부분이 있습니다. 요게 헤드 부분인데 다른 것들 지우지 마시고 <HEAD> 태그 안 적당한 곳에 아까 카피한 메타 태그를 페이스트 (붙이기) 하신 후에 적용을 누르세요.

적용
&amp;amp;lt;HEAD&amp;amp;gt;태그 안에 붙이기. 저는 &amp;amp;lt;/HEAD&amp;amp;gt;바로 위에 붙였습니다.


이제 거의 끝났습니다. 다시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 소유확인 창으로 돌아가서 소유확인을 눌러보세요.
전 분명 아까 닫지 말라고 했다고요.
지금 까지 잘 진행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성공입니다.

소유확인 완료
소유확인 완료. 이게 내꺼다. 이 사이트가 내꺼닷!!!


자, 이제 마지막 단계입니다. 아래 순서대로 실행해 주세요. RSS와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절차입니다.

사이트 목록
목록에서 등록한 주소를 누릅니다.

본인의 URL 뒤에 /rss를 붙인 후에 확인을 눌러주세요.

RSS 제출
RSS 등록


주의: RSS등록에서 주의하실 점은 티스토리>관리>블로그>기타 설정에서 RSS를 50개로 설정해주세요.

RSS 50
RSS를 50개로 변경. 기본 10개


RSS 등록 후 사이트맵을 눌러서 사이트맵 제출도 완료해주세요.
본인 소유 URL 뒤에 /sitemap.xml만 붙이시면 됩니다.

사이트맵 제출
사이트맵 등록

자, 이제 사이트 등록을 마쳤으니 잘 됐나 체크를 한번 해봐야겠죠?
간단 체크 탭을 누르신 후에 등록하신 URL을 입력하시고 돋보기를 누르세요.

사이트 간단 체크


여기까지 제대로 잘 따라서 하셨다면 아래처럼 상태란에 모두 체크된 상태로 나옵니다. 그것이 성공이니까...!
네? 'robots.txt가 존재하지 않습니다.'라고 출력된다고요?

URL 실시간 조회
robots.txt만 제외하곤 모두 성공이닷


네, 굿 캐치!!! 예리하십니다. 이 글에 포함해서 쓰기에는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다음 편으로 이어서 쓰려고 일부러 이 글에서는 다루지 않았습니다.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이어서 보실 수 있습니다.
robots.txt에 관한 글은 바로 여기를 클릭해주세요.

반응형